아이폰을 통해본 전망: 개방형 모델이 성공하는가?

[목차(도우미)]
비전문가로서 보는 개방적 비즈니스 모델과 이른바 폐쇄형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향후를 전망해 본다.

제2라운드

데스크탑 운영체제(OS)에서의 주도권 전쟁을 놓고서 개방적 시장모델을 추구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도스와 윈도가 개인용 컴퓨터에서 독점적 시장점유를 차지한 것은 개방적 비즈니스 모델의 승리라고 통상 분석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더 좋은 운영체제를 가지고도 애플사(Apple)나 IBM사가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지 못한 것은 폐쇄형 구조를 고집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운영체제를 둘러싼 시장의 교훈이다.

세월은 흘러 이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의 주도권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데, 격투기 경기에 비유하여 데스크탑 운영체제에서의 주도권 다툼을 제1회전라고 한다면 이제는 제2회전의 종(Gong)이 울렸다.

이번 경기에서의 등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이름:
특징
애플 아이폰/아이패드:
맥 OS X를 기반의 디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윈도폰:
윈도를 기반의 기업 사용자를 강조
윈도와 비슷하다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
구글 안드로이드폰:
구글 검색 엔진을 무기로 공짜임을 강조
아이폰을 따라하기 바쁜 모양
그외 휴대폰
독자 OS도 있지만 신통치 않음

  엄밀히 보면 제2회전에 먼저 올라와 있는 선수는 윈도폰이었다. 수년 전부터 윈도모바일은 스마트폰 시장에 뛰어 들어서 장사를 해왔다. 그렇다면 모바일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도 남는 세월이 흘렀는데 왜 아직도 저조한 것일까? 시장에서 경쟁상대가 없어서 심심했던 것일까? 아니면 데스크탑 운영체제에서의 대승에 취해서 제2회전의 링위에 올라가 놓고도 쉬고 있는 것일까?
오리

(청둥오리: 한 오리가 말했다. "이 호수의 물고기는 모두 내거야." 또 다른 오리가 말했다. "나도 조금 나눠 주라."그 때 비둔기가 스스로 속삭였다. "나는 몇년 전부터 여기 있었는데...")

패러다임은 변했다

데스크탑 운영체제가 윈도에게 주도권을 모아주게 된 이유는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충분한 자료를 모으지 않았으나, 반드시 윈도가 개방적이었기 때문이었다고 단정하지 못한다. 애플이 폐쇄적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에 데스크탑 PC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지 못했다는 것은 사실일지 모른다. PC 제조 사업을 해보고자 하는 기업에게 있어서 맥OS는 무용지물이었다. 컴퓨터 매니아에게도 맥OS는 손에 넣을 수 없었다.

그런 와중에 각광을 받고 윈도의 강력한 라이벌 후보 리눅스가 등장했지만 데스크탑 운영체제에서의 시장 점유율은 아직도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무료이자 오픈소스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개방적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도 사용자가 적은 것은 무엇이 원인인가?

지금도 폐쇄형 아이폰/아이패드가 종국에는 개방형 안드로이드 OS에 밀리게 될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기사를 종종 접할 수 있다. 워낙 시장이라는 것이 예측을 불허하기에 그런 예측이 적중할 수도 있으나, 모바일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운영체제와 같은 게임룰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폐쇄형 아이폰이 사용자에게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아이폰/아이패드가 휴대폰 제조사에게는 달갑지 않은 경쟁제품이 될 것이나, 사용자에게는 만족 요소가 많이 있다.

휴대폰은 컴퓨터와 달리 개인이 조립할 수 있는 연습기가 될 수 없다. 모르긴 해도 전파법에 위반되기 때문이다. 전파 통신기기를 다루려면 엄격한 규제가 따른다. 규제가 없더라도 휴대폰에 필요한 부품을 입수할 방법이 없다. 설령 고장난 휴대폰에서 부품을 모아 휴대폰을 만들었다고 해도 자작 휴대폰이 전파기기로서의 안전테스트를 거쳐야할 것이다(그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을 취미로 성공했다손 치더라도 이동통신사가 자작 휴대폰을 인증해줄지가 문제로 남는다. 벤처 기업이 휴대폰을 만드는 경우에도 간단히 노동집약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기기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즉 누구나 쉽게 책을 보고 조립해서 만들수 있는 PC와 휴대폰은 성격을 달리 한다.

소프트파워가 승패를 가른다

데스크탑 운영체제에서 싼 가격을 무기로 PC 제조사와의 협력을 얻어낸 데서 비롯된 소프트웨어 컨텐츠가 데스크탑 운영체제의 시장점유율에 기여했다고 재평가한다면 모바일 운영체제에서의 시장점유율 또한 소프트파워에 관심이 모여진다. 개발자나 제조사도 아닌 모바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개방성이나 폐쇄성이 아니라 --- 이것이 싫어서 애플이 싫다는 사용자도 있으나 --- 컨텐츠/내용이다. 만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DOS와 IBM-OS/2가 동일한 수의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비슷한 가격이었다면 MS-DOS를 쓴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만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업계의 강력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만들지 않고 있는 MS-Office를 HP-UX나 리눅스(Linux)용으로 판매한다면 지금같이 리눅스가 개인용 컴퓨터 업계에서 시장점유율이 낮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안드로이드처럼 개방형 운영체제도 유용한 어플리케이션 가짓수만 10만개 이상으로 늘리면 시간은 걸린다해도 제2회전에서 불꽃 튀는 멋진 경기가 벌어지지 않을까? 제1회전에서 죽었다 살아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애플사가 단지 "폐쇄성"으로 고생했다는 것이면 제2회전에서는 그 폐쇄성을 벗어난 전략을 세울 것임에 틀림없다. iPhoneOS를 시장에 공급하는 것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폐쇄적이라는 행보를 애플사가 바꾸지 않는 것을 보면 제2회전 경기는 좀더 지켜 보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나온지 오래되었다는 윈도폰은 왜 아직도 링에는 올라오지도 못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며, 이른바 개방적이면서도 히트작이 되지 못했는지도 좀더 경기를 지켜보면 알게 될 것이다.

통상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자에게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부여되어야 한다. 만일 개방형이라는 미명하에 고려해야하는 변수가 너무 많고 버그투성이인 운영체제에서 변변한 개발툴도 없이 출시 일정에만 쫓기게 된다면 제2회전의 경기는 싱겁게 끝날 것이다.

  우리나라도 혁신적이고 깜찍한 운영체제를 만들어 제3회전에 올라가 보기를 기대해 마지 않는다.
by 금메달.아빠 on 2010. 7. 15. 23:23